과수원을 조성하기 위해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.
완전히 생업으로 하기 위해서는 5000~6,000평 정도는 되어야 하지만,
나의 경우와 같이 주말농장을 하면서 노후를 보내는 경우라면 약 1,000평 정도면 족하리라 본다.
500평은 매실, 대추, 자두 등 유실수를 규격에 마추어 심고 나머지 500평은 채소류 등을 경작하면서
자연을 벗삼아 즐겨가며 살면 어떨런지....
1) 평탄 작업 :
우리 나라의 토지는 굴곡이 많아 기께화 및 농작업에 불리한 지형이 많아 정지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,
그러나 유기물이 많이 포함된 옥토를 깊은 곳에 묻게되고 유기물이 거의 없는 심토층이 밖으로 나오게 해서는 않된다.
축분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유기물이 많이 포함된 토양을 만들수 있을 것 같이만 단기간 내에는 만들수 없다.
장비 사용비가 조금 더 들어가도 좋은 토양을 한 쪽에 쌓았다가 평탄 작업 후 그 위에 펴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다.
2)작업로 :
50대, 60대의 나이에 좀 더 욕심을 부리면 70대까지 일을 하기 위해서는
가능하면 육체적으로 힘들지 말아야 하고,
그러기 위해서는 처움 부터 완전 기계화 및 자동화는 어렵지만,
서서히 시설을 완비하기 위해서는 나무 몇 주 적게 심더라도 기초 시설로서 작업로를 확보하여야 한다.
3)배수 시설 :
보통 10mm 유공관을 묻고 바로 그 위에 묘목을 심으면 토양이 침하되어 원하는 깊이로 심을 수 없게된다.
보통 1년은 녹비 작물을 심어 땅을 안정화 시킨 후 묘목을 심어야 원하는 깊이로 심을 수 있다.
4)품종 선택 :
자기의 노동력 정도를 파악하여 한 시기에만 작업이 집중 되지 않게 조,중,만생종을 배분하며, 2 - 3가지 품종으로 집중 관리하는 것이 판매에 유리하다.
수분수는 꽃사과를 품종에 맞게 중간에 배치해야 한다.
5)수형 :
적은 면적에 노동력이 여유가 있다면 수고를 높여 단위 수확량을 높이는 것이 좋고,
면적이 넓고 노동력이 부족하면 저수고가 유리하다.
유인에 대한 노동력을 줄이는 수형은 하수축하형이 있다.
'주말농장 > 과일나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포도나무재배-6월 관리방법. (0) | 2012.06.09 |
---|---|
[스크랩] 지금 사과밭에선 무슨 일이?? (0) | 2011.06.10 |
[스크랩] 포도나무재배 (0) | 2010.11.19 |
[스크랩] 가정에서 가꾸기 적합한 과수 (0) | 2010.03.14 |
[스크랩] 과원 관리는 과일 수확 후가 더 중요 (0) | 2010.03.14 |